728x90
반응형
2025년 개정 최저시급, 출산휴가, 육아휴직,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등
노동관계법령과 시행시기

안녕하세요 나미리뷰에 나미입니다. 2025년이 코 앞으로 다가왔습니다. 2025년부터 새롭게 시행. 적용되는 노동관계법령 변경 사항 중 실무상 중점적으로 주의해야 할 내용들을 살펴보고 정리해 보겠습니다.

관련 법령 | 구분 | 변경 전 | 변경 후 | 시행시기 |
최저임금법 | 최저시급 인상 | 9,860 원 | 10,030 원 | 2025.01.01 |
2025년 최저시급 1만 30원 1.7% 인상 1만원 문턱을 넘었습니다
2025년 최저시급 1만 30원 1.7% 인상 1만원 문턱을 넘었습니다 안녕하세요 나미리뷰에 나미입니다. 2025년 최저시급 1만 30원 1.7% 인상 1만원 문턱을 넘었습니다."최저임금 위원회는 자정을 넘
namireview.tistory.com

관련 법령 | 구분 | 변경 전 | 변경 후 | 시행시기 |
근로기준법 | 출산전후휴가 기간 | 단태아 90일, 다태아 120일 | 단태아 90일, 다태아 120일, 미숙아 100일 | 2025.02.23 |
임신기 근로시간 단축기간 | 임신 12주 이내 또는 36주 이후 신청 가능 | 임신 12주 이내 또는 32주 이후 신청 가능 *유산, 조산 등 위험이 있는 경우 임신 전 기간 | ||
연차유급휴가 산정 | 연차휴가 산정 시 출근 간주 1. 업무상 부상.질변 휴업 기간 2. 출산전후휴가 3. 육아휴직기간 | 연차휴가 산정 시 출근 간주 1. 업무상 부상.질변 휴업 기간 2. 출산전후휴가 3. 육아휴직기간 4.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기간 5. 임신기 근로시간 단축기간 | 2024.10.22 | |
유.사산휴가 | 임신기간 11주 이내 : 유산 또는 사산한 날부터 5일 | 임신기간 11주 이내 : 유산 또는 사산한 날부터 10일 | 2025.02.23 (예정) |

관련 법령 | 구분 | 변경 전 | 변경 후 | 시행시기 | |
남녀고용 평등법 | 배우자 출산휴가 | 기간 | 10일(유급) | 20일(유급) | 2025.02.23 |
분할 | 1회 분할 사용 가능 | 3회 분할 사용 가능 | |||
사용방법 | 출산을 이유로 휴가 '청구' | 출산을 이유로 휴가 '고지' | |||
사용기간 | 출산 후 90일 이내 청구 | 출산 후 120일 이내 사용 | |||
육아휴직 | 기간 | 최대 1년 | 1년 + 특정 요건 해당 시 6개월 추가 1. 같은 자녀를 대상으로 부모가 모두 육아휴직을 각각 3개월 이상 사용한 경우의 부 또는 모 2. [한부모가족지원법] 제4조제1호의 부 또는 모 3. 고용노동부령으로 정하는 장애아동의 부 또는 모 | ||
분할 | 2회 분할 사용 가능 | 3회 분할 사용가능 | |||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 대상 자녀 | 자녀 연령 만 8세 이하 또는 초등학교 2학년 이하 | 자녀 연령 만 12세 이하 또는 초등학교 6학년 이하 | ||
기간 | 1년 + 육아휴직 미사용기간 | 1년 + 육아휴직 미사용기간의 두 배 기간 | |||
분할 | 3개월 단위 이상 분할 가능 | 1개월 단위 이상 분할 가능 | |||
난임치료휴가 | 연 3일 (1일 유급) | 연 6일 (2일 유급) |
2025 예산안 육아휴직 급여 250만원 육아휴직 업무 분담 동료는 20만원
"육아휴직 급여 100만 원 늘어난다."육아휴직 급여 250만 원 육아휴직 업무분담 동료는 20만 원 안녕하세요 나미리뷰에 나미입니다. 2025 예산안에 정부가 내년부터 일. 가정 양립과 돌봄,
namireview.tistory.com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관련 법령 | 구분 | 변경 전 | 변경 후 | 시행시기 |
고용보험법 | 배우자 출산휴가 급여 (근로자 지원) | 최초 5일 (우선지원 대상기업 한정) | 20일 전 기간 (우선지원 대상기업 한정) | 2025.02.23 |
난임치료휴가 급여 (근로자 지원) | - | 최초 2일 (우선지원 대상기업 한정) |

관련 법령 | 구분 | 변경 전 | 변경 후 | 시행시기 | |
고용보험법 시행령 | 대체인력 지원금 (사업주 지원) | 출산전후휴가, 유사산휴가,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시 | 출산전후휴가. 유사산휴가,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육아휴직 시 | 2025.01.01 | |
업무분담 지원금 (사업주 지원) |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시 |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및 육아휴직 시 | |||
육아휴직 급여 (근로자 지원) | 사후 지급금 | 육아휴직급여의 25%는 복직 후 6개월 경과 시 지급 | 폐지 | ||
일반 근로자 | 월 상한액 150만원 | 1~3개월 월 상한액 250만원 4~6개월 상한액 200만원 이후 상한액 160만원 | |||
한부모 근로자 | 1~3개월 월 상한액 250만원 이후 월 상한액 150만원 | 1~3개월 월 상한액 250만원 4~6개월 상한액 200만원 이후 상한액 160만원 | |||
** 6+6 부모육아 휴직제도 | 첫 1개월 월 상한액 200만원 | 첫 1개월 월 상한액 250만원(2~6개월 현행과 동일) | |||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급여 (근로자 지원) | 주 10시간 단축분 월 상한액 200만원 | 주 10시간 단축분 월 상한액 220만원 |
** 6+6 부모육아 휴직제도 : 생후 18개월 내 자녀가 있는 부모가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육아휴직 사용 시 첫 6개월 간 육아휴직 사용 시 첫 6개월 간 육아휴직 급여로 부모 각각 통상임금의 100%를 지급하는 제도
반응형
'회계 리뷰 > 개정세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 예산안 육아휴직 급여 250만원 육아휴직 업무 분담 동료는 20만원 (30) | 2024.08.27 |
---|---|
2025년 최저시급 1만 30원 1.7% 인상 1만원 문턱을 넘었습니다 (2) | 2024.07.12 |
2024년 7월 국민연금 기준소득월액 상.하한액 변경 보험료 계산 (2) | 2024.06.17 |
근로기준법 임산부의 보호 규정 및 임신 근로자 업무시간 변경 신청 (0) | 2024.05.13 |
2024년 4대보험료율 건강보험료 동결 및 장기요양보험료율 인상 (0) | 2023.12.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