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계 리뷰/개정세법 썸네일형 리스트형 2025년 개정 최저시급, 출산휴가, 육아휴직,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등 노동관계법령과 시행시기 2025년 개정 최저시급, 출산휴가, 육아휴직,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등 노동관계법령과 시행시기 안녕하세요 나미리뷰에 나미입니다. 2025년이 코 앞으로 다가왔습니다. 2025년부터 새롭게 시행. 적용되는 노동관계법령 변경 사항 중 실무상 중점적으로 주의해야 할 내용들을 살펴보고 정리해 보겠습니다. 관련 법령구분변경 전변경 후시행시기최저임금법최저시급 인상9,860 원10,030 원2025.01.01 2025년 최저시급 1만 30원 1.7% 인상 1만원 문턱을 넘었습니다2025년 최저시급 1만 30원 1.7% 인상 1만원 문턱을 넘었습니다 안녕하세요 나미리뷰에 나미입니다. 2025년 최저시급 1만 30원 1.7% 인상 1만원 문턱을 넘었습니다."최저임금 위원회는 자정을 넘namirevie.. 더보기 2025 예산안 육아휴직 급여 250만원 육아휴직 업무 분담 동료는 20만원 "육아휴직 급여 100만 원 늘어난다."육아휴직 급여 250만 원 육아휴직 업무분담 동료는 20만 원 안녕하세요 나미리뷰에 나미입니다. 2025 예산안에 정부가 내년부터 일. 가정 양립과 돌봄, 주거 지원 등을 포함한 저출생 예산을 확대한다고 발표했습니다. 육아휴직 급여액을 월 최대 250만 원으로 상향, 육아휴직 업무를 분담하는 근로자를 위해 월 20만 원의 지원금을 새로 마련한다라고 기획재정부는 27일 '2025년 예산안'을 발표했습니다. "육아휴직 급여가 100만 원 늘어난다." 올해 육아휴직 급여는 최대 150만 원으로 통상임금의 80% 수준에 그쳤으나, 내년에는 통상임금의 100% 수준인 최대 250만 원으로 늘어나고, 육아휴직 1 ~ 3개월까지는 250만 원을 받고 4 ~ 6개월까지는 2.. 더보기 2025년 최저시급 1만 30원 1.7% 인상 1만원 문턱을 넘었습니다 2025년 최저시급 1만 30원 1.7% 인상 1만원 문턱을 넘었습니다 안녕하세요 나미리뷰에 나미입니다. 2025년 최저시급 1만 30원 1.7% 인상 1만원 문턱을 넘었습니다."최저임금 위원회는 자정을 넘긴 논의 끝에 7.12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제11차 전원회의에서 이같이 결정했습니다."라는 뉴스를 아침에 들었는데요. 올해 2024년 최저임금 9,860원보다 170원 높은 금액 1.7% 인상되었습니다. 최저시급이 1만 원대를 기록하는 것은 1988년 제도 도입 이후 37년 만에 처음이라고 하네요. 그리고 5천 원대로 올라선 2014년 이후 11년 만이구요. 2014년2015년2016년2017년2018년2019년2020년2021년2022년2023년5,2105,5806,0306,4707,5308,3.. 더보기 2024년 7월 국민연금 기준소득월액 상.하한액 변경 보험료 계산 2024년 7월 국민연금 기준소득월액 상. 하한액 변경 보험료 계산 안녕하세요 나미리뷰에 나미입니다. 만 65세가 되면 국민연금을 받을 수 있는 나이가 되는데요. 국민연금이란? 나이가 들거나 장애가 생겨서 돈을 벌지 못할 때를 대비해서 소득이 있을 때 보험료를 내는 겁니다. 만 18~60세 직장인이라면 모두 의무적으로 국민연금에 가입해야 하고 매월 월급의 약 9% (4.5%는 본인부담, 4.5%는 회사부담)를 보험료로 때고 이렇게 쌓인 돈은 만 65세가 지나면 매월 월급처럼 나눠 돌려받을 수 있습니다. 보험료율근로자사업주기준소득월액4.5%4.5% 국민연금 기준소득월액의 상한액과 하한액은 국민연금 전체 가입자 평균소득을 3년간 평균한 값에 연동하여 매년 7월 변동되며 이번 2024.7.1부터.. 더보기 근로기준법 임산부의 보호 규정 및 임신 근로자 업무시간 변경 신청 근로기준법 임산부의 보호 규정 및 임신 근로자 업무시간 변경 신청 근로기준법 제74조 (임산부의 보호) ① 사용자는 임신 중의 여성에게 출산 전과 출산 후를 통하여 90일 (한 번에 둘 이상 자녀를 임신한 경우에는 120일)의 출산 전후휴가를 주어야 한다. 이 경우 휴가 기간의 배정은 출산 후에 45일 (한 번에 둘 이상 자녀를 임신한 경우에는 60일) 이상이 되어야 한다② 사용자는 임신 중인 여성 근로자가 유산의 경험 등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사유로 제1항의 휴가를 청구하는 경우 출산 전 어느 때라도 휴가를 나누어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이 경우 출산 후의 휴가 기간은 연속하여 45일 (한 번에 둘 이상 자녀를 임신한 경우에는 60일) 이상이 되어야 한다.③ 사용자는 임신 중인 여성이 .. 더보기 2024년 4대보험료율 건강보험료 동결 및 장기요양보험료율 인상 2024년 4대 보험료율 건강보험료 동결 및 장기요양보험료율 인상 안녕하세요 나미리뷰에 나미입니다. 2024년 4대보험료율이 발표되었는데요. 매년 조금씩 올라가는 4대 보험료 저희같은 근로자들에게는 연봉이 동결이 되면 4대 보험도 작년과 같이 동결이라면 얼마나 좋을까요??? 하지만, 2024년 4대 보험료는 어려운 경기상황을 고려하여 무지막지하진 않습니다. 오늘은 2024년 국민연금, 건강보험 (장기요양), 고용보험, 산재보험 보험료율을 포스팅해보겠습니다. 1. 국민연금 동결 국민연금보험료는 2023년과 동일하게 인상 없이 9% 근로자와 사용자가 각각 4.5%씩 부담 2023년 7월 보험료의 기준소득 상한액이 5,530,000 > 5,900,000으로 인상 2. 건강보험료 동결, 장기요양보험료율 인상 2.. 더보기 2023년부터 달라지는 제도와 정책변화 2023년부터 달라지는 제도와 정책변화 안녕하세요. 2023년 새해 상반기부터 보건. 복지. 고용 관련 달라지는 새 제도와 정책변화 등이 발표되었는데요. 최저임금과 4대 보험료율 외 기타 내용을 항목별로 포스팅해 보겠습니다. 1. 최저임금 인상 (2023.1.1.) 시간급 9,620원으로 올라 8시간 기준 76,960원, 주 근로시간 40시간 기준 월 환산액은 2,010,580원 2. 4대 보험 요율변경 (2023.1.1.) 구분 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보험 (실업급여) 산재보험 합 계 건강 장기요양 소 계 보험요율 9% 7.09% 0.908% 7.998% 1.8% 업종별 상이 18.798% + a 근로자 부담 4.5% 3.545% 0.454% 3.999% 0.9% - 9.399% 사업주 부담 4.5% 3.. 더보기 근로자 식대 월 20만원 비과세 급여 실수령액 계산 근로자 식대 월 20만 원 비과세 급여 실수령액 계산 안녕하세요. 최근 외식 물가가 급등하면서 직장인이라면 밥값 부담스럽지 않을 수가 없는데요 내년 1월부터 근로자의 식대 비과세 한도가 월 10만 원에서 20만 원으로 상향 조정한다는 뉴스를 접했습니다. 내년 1월 시행을 기준으로 대상자는 면세자를 제외한 1천만명가량 추산되며 직장인 식대 비과세 한도는 2003년 10만 원에서 2022년 현재 계속 동결상태이며 최근 물가가 급격히 상승하며 비과세 한도 상향에 대한 필용성이 제기되면서 소득세법 개정안을 의결했습니다. 오늘은 식대 비과세 상향에따른 직장인들의 "급여 실수령액 계산"을 해봄으로써 내연봉에 식대 비과세가 20만 원이면 얼마를 더 수령하게 되는지 급여 계산기로 계산해보겠습니다. 식사(식대) : 근로.. 더보기 이전 1 2 다음